https://ssina-review.tistory.com/81
(제테크1) 캐쉬백카드 와 경기지역화폐카드~
30대 가장의 제테크 1부입니다. 먼저 제테크란게 무조건 적금 부동산 주식 펀드 이런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일종에 적립이나 포인트 아끼고거나 많이 적립되는 이런 상품들을 잘 사용
ssina-review.tistory.com
제테크1부에 이은 2부입니다.
네이버 블로그를 4년간 했습니다. 글 솜씨가 모자라서 있는데로
포스팅을 했습니다. 그래도 몇년간 꾸준히 한 덕분에
네이버 블로그 전체 순위 상위1% 입니다.
사실 그래도 별건 없습니다 ㅎ 차라리 어느 한 라인으로
전문적으로 했어야 하는데..글 솜씨가 모자라서
무작위적 리뷰를 했더니... 꾸준해서 전체 순위는 높았으나.
전문적인 포스팅 사이에서는 노출 순위가 좀 낮더라구요.
아무튼 이왕지사 블로그를 하고 리뷰를 하는거
누군가 포스팅을 보러 왔을때 어떤 수입이 있다면
좋지 않을까요?
그리고 요즘 사람들은 블로그 포스팅에 리뷰를 먼저 찾아보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효과도 좋습니다.
내 블로그에 광고를 게재 하여서 수입을 만들자!
1. 네이버 애드포스트
2. 구글 애드센스
3. 쿠팡 파트너스
에 대해 리뷰를 해드리겠습니다.
1. 네이버 애드포스트
네이버 블로그를 꾸준히 하고 계시다면. 이거는 꼭 하세요.
왜 꾸준히 한다면. 이라면 네이버 블로그만 한다고 애드포스트 광고를
할수 있는것은 아니고 일정량의 포스팅 과 어느정도의 퀄리티를 한다면
네이버 애드포스트 사이트에 따로 접속하여서 가입하고 광고게재를 위한
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꼭 하나의 블로그만 되는것은 아니고
네이버 블로그 / 포스트 / 밴드 까지 추가가 됩니다.
심사에서 통과를 하고 나면 광고 게재가 가능하며
누군가 내 포스팅에 방문해서 광고 클릭을 해주면
일정한 수치에 수익이 나는 구조입니다.

솔직히 인플루언서가 된 분들....어떤 분야에 전문가적 리뷰를 하는 분들의
수익은 높다고 합니다. 어느 IT 유투버 겸 블로거분은 일정 월급 수준의
수익이 난다고도 하셨는데....그건 뭐 그런분들의 이야기이고...
저같은 그냥 일반적인 막 블로거들은 그런 수익은 기대하기 어렵겠죠.
저는 지금의 N블로그는 이제 부동산 전문 블로그로 운영중입니다.
제품 리뷰는 티스토리에서 하고 있는데요. N블로그에 전에 포스팅 된것들이
계속적으로 방문객을 유도도 하고 해서..
그나마 나는 수익이 저정도입니다.
그냥 용돈도 안되죠;

일정 금액이 되면 매달 ..신청해둔 계좌로 자동 입금을 해줍니다.
실제로 이 수익은..광고를 위해 돈 내는 분들이 실제 내는 금액보다는
턱없이 적은 금액이죠 ㅎ 네이버 광고 측이 거의 다 먹고
진짜 조금 주는거죠.
아무튼 그래도 그냥 해두기만 하면 자동으로 수익 발생 되고
입금 해주고 하니깐...저의 경우 한달 5만원이면...
천만원을 연3%대 이자 주는곳에 입금 해둬야 매달 생기는
금액 수준인건데요... 그렇게 보면 쏠쏠 한것 아닐까요?
요즘은 여행 / IT / 인테리어 / 요리 /육아 이런게 더 많은
방문객을 유입시키는거 같더라구요.
2. 구글 애드센스
우리나라는 N블로그를 많이 하죠.. 하지만 예전부터 있던게
구글의 티스토리 입니다. 그리고 애드포스트 보다 먼저 구글의 애드센스가
먼저 나왔고 지금은 유투브 까지 연결된 이런 부업? 업종에선
할아버지 조상격입니다.
애드센스는 티스토리 라는 블로그를 운영 하거나 유투브를 한다면
연결 할 수 있는 광고 사이트 입니다.
저는 티스토리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자면 N블로그 처럼
티스토리를 좀 키우셔야 합니다. 애드포스트 보다
티스토리에 애드센스는 고시 라고 불릴 정도라고 합니다.
애드센스고시! 7전8기
라고도 한다고 하네요.. 저는 현재 한달정도 꾸준히 포스팅을
하고 첫 신청을 하여서.. 총 2번 반려 되고 3번째에서 통과 되었습니다.
그전까지 대략 50여개 정도의 포스팅을 하고 계속 신청을
했던거 같습니다. 사실 2번째 반려되고는 포스팅도 안하고 있었습니다.
그냥 3번째 신청만 기다렸는데 다행히 통과가 되어서
너무 기뻣습니다.

네이버에 애드포스트는 광고 클릭을 해야 수익을 준다면
구글 애드센스는 노출만 되어도 수익을 나누어 줍니다.
하지만 클릭이 더 수익이 될 수 있고. 또 한 광고 노출이
네이버는 좀 연관없는 듯한 내용이 많이 나오고
구글쪽은 내가 언젠가 검색한. 키워드 등이 구글에 남아서
나에게 그대로 쫓아서 비슷한 광고를 계속 노출 시켜 주기 때문에
실제로 클릭 유도 확률이 더 높다고 보일 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애드포스트는 단순히 광고게재! 시작! 하면 정해진 몇군데만 광고가
나가지만 구글의 애드센스 등은 몇가지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 등
애드포스트보다는 복잡 합니다만... 예전에 비하면 지금은 좀 더 쉬워졌습니다.
다행히도 검색해보면 다 알 수 있는 내용들 입니다.
저도 이제 카카오의 애드핏 과 구글의 애드센스 /
꾸준한 포스팅으로 나중에 제2의 월급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3. 쿠팡 파트너스
네이버 블로그와 구글의 티스토리가 쿠팡 파트너스를 싫어합니다.
"이제품 여기서 샀어요. 들어 가보세요 " 쿠팡링크
그리고 쿠팡 어플이 열리고 결재까지 된다면 여러분께 수익을 드립니다.
쿠팡 아이디가 있다면.. 뭐 다른 노력은 필요 없이 쿠팡파트너스 라는 사이트에
신청하시면 광고 링크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내가 쿠팡에서 산거여도 되고 안 산거여도 되고
어떤 제품에 대한 포스팅을 할때 쿠팡 파트너스에서 발급 받은
링크주소를 같이 올려서.. 누군가 그 제품 리뷰를 보고
링크를 눌러서 주문을 한다면 나에게 수익을 줍니다.
많은 사람들이 쿠팡을 많이 이용하면서 이제품 저제품 사기전 검색을 많이 하는데
그럴때 마지막 결재 전에 내 링크를 눌러서 결재 까지 한다면...
그 사람이 주문하는 전체 금액에 대한 수익금이 들어오기 때문에
잘 하면 재미를 볼 수 있다...
실제로 수익금 인증 하는 분들도 있더라구요.
사실 저는 뭐..지금은 추가로 안하지만 두어달 해보았습니다.
고작 이런 수익이 났구요. 매달 아닙니다..총 24345원 입니다.

왜 지금은 안하냐면... 블로그 나 티스토리의 최적화나 노출에 안좋다. 라는 말이
있기도 하고 해서 결국 저품질 걸리게 되면 애드포스트 등에 수익도 줄어 들기 때문에
시범적으로 해보고 현재는 하지 않습니다.
진짜로 쿠팡파트너스 때문에 저품질이 걸려서 노출이 안된다.
라는건 알수 없습니다. 그런거 같다는 거 이기 때문에 정확한 데이터는 없습니다.
저는 다만 그렇게 이걸로 수익이 높지 않다. 않을거 같다 그렇다면
그냥 빼서 단점을 만들지 말자. 입니다.
아니면 쿠팡 파트너스 전문 블로그를 만든다면 다른 결과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ㅎ 키워드에 차이로 인해 노출이 된다면
검색으로 들어올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전에 제가 쓴 일종에 간략?한 통합본 입니다.
여러가지 정보가 있습니다. 참고 되시면 좋겠습니다.
https://ssina-review.tistory.com/68
30대 가장의 제테크,파킹통장,잔돈모으기 초보투자! 종합해보자!
84년생 한국나이 37세 7살 4살 딸들의 아빠. 한 가정의 가장 으로 이제야 투자 다 파킹통장 이다 제테크다 제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지만 모르는게 많습니다. 주식 펀드 공부 하기 힘들고 아파
ssina-review.tistory.com
요즘은 유투브 해라 / 쿠팡 판매업을 해라 / 코스트코 구매대행 해라 등등에
부업?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하지만 그게 쉬운것은 아닙니다.,
안해보고 쉽다 어렵다 하는게 아닙니다. 각자 전문 분야가 있는것이고..
맞는 분들이 하는거고 수익도 그렇게 나는것입니다.
하루에 한시간 투자로 뭐 얼마벌기!
그러기 위해 어마어마한 노력과 투자로...
하루에 한시간 몇가지 눌러봐 줘도 수익이 나는걸
만들어둔겁니다.
하지만 이 애드포스트나 애드센스는
어차피 하는 블로그 포스팅 과 방문객 유입 안에서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자금이기 때문에
블로그들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해보시길
권하고 싶습니다!

'제테크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테크1) 캐쉬백카드 와 경기지역화폐카드~ (0) | 2020.11.09 |
---|---|
30대 가장의 제테크,파킹통장,잔돈모으기 초보투자! 종합해보자! (0) | 2020.10.28 |
(책리뷰) 월세 박는 부동산 제대로 고르는 법.. (0) | 2020.10.25 |
(전자책 제테크1) 전자책 판매와 파이프라인~에 대해서. (0) | 2020.09.07 |
댓글